아파치(apache) 가상호스팅
아파치 + 톰캣 연동에 이어서 가상호스팅 갑니다.
현재 우리는 아파치 + 톰캣 + 오라클 을 사용한 서버를 운영하고있습니다.
거기에 추가로 아파치 + php 를 사용한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려고 합니다.
그런데 그렇다구 아파치를 두개띄울수는 업잔항요?
가상호스팅을 사용하여 해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우리가 원하는건
아파치와 php를 사용하는 test.nachal.com 과
아파치와 톰캣을 사용하는 ilmo.nachal.com 두개로 서버를 운용하는겁니다.
가상호스팅을 사용하기위해서는 아파치의 httpd.conf 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.
# Virtual hosts
Include conf/extra/httpd-vhosts.conf
이게 가상호스팅의 환경파일입니다. 물론 주석처리되어있을테니깐 풀어주세요.
그리고 사용할 두개의 document root 에 대하여 권한을 줘야겠죠 ?
깜빡했을경우에는 이런 에러메시지를 확인할수 있겠죠.
client denied by server configuration
아파치설정파일은 이거로 끝입니다.
그럼 그다음은 주석을 풀어준 환경파일을 편집해야겠죠.
<VirtualHost *:80>
ServerAdmin code0gm@naver.com
DocumentRoot "D:/Project/sns"
ServerName test.nachal.com
ErrorLog "logs/test.nachal.com-error.log"
CustomLog "logs/test.nachal.com-access.log" common
</VirtualHost>
<VirtualHost *:80>
ServerAdmin code0gm@naver.com
DocumentRoot "D:/Project/ilmo"
ServerName ilmo.nachal.com
JkMount /*.jsp ajp13
ErrorLog "logs/ilmo.nachal.com-error.log"
CustomLog "logs/ilmo.nachal.com-access.log" common
</VirtualHost>
제가 수정한 환경파일입니다.
나머진 의미없고 DocumentRoot 를 각 도메인에 맞게 선언해주시고
ServerName 를 지정해주세요.
ilmo.nachal.com 의경우는 아파치+톰캣의 연동에필요한 jk 모듈을 사용했기 때문에
마운트 명령어를 한번더 넣어줬습니다.
마지막으로
이렇게 한다구 dns에서 우리맘대루 도메인을 알리가 없지 않겠어요?
윈도우즈홈/System32/drivers/etc/hosts 파일을 당연히 수정해줘야합니다. 물론 서버에서요
이런건 기본이죠?
자 이제 확인 ㄱㄱㄱ
'Dev > Apach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pache RewriteEngine (0) | 2010.06.10 |
---|---|
apache 인덱싱 기능 (1) | 2010.06.07 |
apache + openssl 적용 (0) | 2010.05.28 |
CentOS 에서 apache + php 설치하기 (1) | 2010.05.26 |
Apache + Tomcat 연동 (0) | 2010.05.25 |